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당뇨, 이런얘기 저런얘기

소변으로 당을 배출하는 당뇨병 치료제, SGLT-2 억제제 SGLT-2 억제제는 당뇨병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 중 하나로, SGLT-2는 "나트륨-글루코스 공동 수송체 2"를 나타냅니다. 이는 신장에서 작용하는 당뇨병 치료 약물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SGLT-2 억제제의 주요 기작은 신장에서의 글루코스 재흡수를 감소시킴으로써 혈중 글루코스 농도를 낮추는 것입니다. 이러한 약물은 신장의 특정 부분에서 나트륨과 함께 글루코스를 소변으로 배출하게 하여 혈당 수준을 조절합니다. 이는 당뇨병 환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체중 감량과 혈압 조절에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SGLT-2 억제제는 당뇨병 환자 중에서 혈당 조절이 어려운 경우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과 부작용은 개별적으로 다를 수 있으므로 의사와의 상담 후 처방받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칸.. 더보기
당뇨, 중증 아니면 동네 병원 다니세요. 안녕하세요. 당 초보입니다. 그래도 종합병원이 좋겠지... 하고 서울에서 유명하다는 종합병원에 다녔습니다. 아침에 가서 한두 시간 기다리고 잠시 1분도 안 되는 얘기 듣고... 당혈 검사도 바로 나오지도 않고 몇 개월 뒤에 결과 보고... 고지혈증 수치 안좋다고 고지혈증 약 처방하고 10개월 동안 피검사 한 번도 안 하고 ㅠㅠ 짜증 나서 동네 병원 가서 당혈, 고지혈증 검사하였습니다. 결과는 다음날 바로 나오네요. 고지혈증 정상, 당혈 5.8%!!! 고지혈증 약 먹어서 그럴 수 있으니 일단 단약하고 3개월 뒤에 다시 검사하기로 했습니다. 중증 아니시면 종합병원 비추 입니다. 합병증 검사등으로 한 두번은 가도 좋을 듯.... 일단 사람이 많구요.. 누가 누군지도 모르고요.. 그간의 당화혈색소 기록 2021.. 더보기
당화혈 색소와 관련 측정치 1. HbAlc-NGSP(당화혈 색소) 는 무엇인가 ? HbA1c-NGSP는 당뇨병의 관리와 진단에 사용되는 혈색소 A1c의 측정 단위 중 하나입니다. NGSP(National Glycohemoglobin Standardization Program)는 HbA1c 측정 결과를 표준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HbA1c 측정 단위를 %로 표현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따라서 HbA1c-NGSP는 %로 표현되며, 이를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지역에서는 보다 널리 사용합니다. HbA1c-NGSP는 혈당 수치의 평균치를 추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HbA1c 6%는 혈당 수치의 평균치가 약 126 mg/dL인 것으로 간주됩니다. HbA1c-NGSP는 이와 같은 혈당 수치 평균치를 추정하는 데 유용하며, 당뇨병의 진.. 더보기
비침습 혈당 측정기 개발 동향 - Afon 영국에 있는 아폰(Afon) 테크놀러지는 현재 비침습혈당측정기를 2024년 출시 목표로 개발중에 있다. 2023년에는 다양한 테스트를 거치겠다는 포부를 가지고 있다. https://www.notebookcheck.net/Non-invasive-Afon-Blood-Glucose-Sensor-gets-heartening-target-launch-timeframe.692949.0.html Non-invasive Afon Blood Glucose Sensor gets heartening target launch timeframe A non-invasive glucose monitor in the form of the Afon Blood Glucose Sensor has been given a target lau.. 더보기
동일한 시간의 혈당측정, 다른 혈당 동일한 시간의 혈당측정을 해 보면 혈당계 마다 측정값이 다르다. 아침에 공복혈당을 측정한 결과이다. 혈당계의 시간은 맞추지 않아서 다르게 보일뿐이며 동일한 시간인 아침 6시 11분이라고 보면 된다. 우리가 사용하는 혈당계는 국내 기관의 인증을 받은 제품을 구매해야 한다. 대부분 그런 제품일것이다. 아침에 공복 혈당측정을 해서 10~15mg/dL 정도 차이 나는 것에 대해서는 속상해 하지 않아도 된다. 수치가 많이 차이나는것이 문제지 어느정도 차이가 나는것에 대해서는 고민을 하지 않아도 된다. 매일 건강하게 운동하며 관리하면 되는 것이다. 화이팅 ~~ 더보기
연속혈당측정기 급여 적용방안 및 그 외 정부 지원 관련 상황 당뇨 환우의 정부 지원은 어떻게 되고 있는가 ? ‘젊은 당뇨’ 지원법 유명무실… “무관심에 ‘취약계층’ 전락” https://kormedi.com/1564214/%ec%a0%8a%ec%9d%80-%eb%8b%b9%eb%87%a8-%ec%a7%80%ec%9b%90%eb%b2%95-%ec%9c%a0%eb%aa%85%eb%ac%b4%ec%8b%a4-%eb%ac%b4%ea%b4%80%ec%8b%ac%ec%97%90-%ec%b7%a8%ec%95%bd%ea%b3%84%ec%b8%b5-%ec%a0%84/ '젊은 당뇨' 지원법 유명무실... "무관심에 '취약계층' 전락" 어린이와 청소년, 임산부와 청년 등 젊은 1·2형 당뇨 환자를 위한 지원 법률이 유명무실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현재 국회에서 입법안이 발의된 상태지만.. 더보기
혹 하게 눈에 들어온 제목의 기사 "식후 혈당을 낮추는 가장 쉬운 방법" 당뇨 관련 기사를 검색하다가 문득 눈에 들어온 기사... 식후 혈당은 낮추는 가장 쉬운 방법이라고 한다. 글을 다 읽어 보니.. https://www.vogue.co.kr/2023/01/13/%ec%8b%9d%ed%9b%84-%ed%98%88%eb%8b%b9%ec%9d%84-%eb%82%ae%ec%b6%94%eb%8a%94-%ea%b0%80%ec%9e%a5-%ec%89%ac%ec%9a%b4-%eb%b0%a9%eb%b2%95/?utm_source=naver&utm_medium=partnership 식후 혈당을 낮추는 가장 쉬운 방법 무서운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는 당뇨병. 노화 과정의 일부로 여겨지던 당뇨의 이른 증상이 20~30대에서 흔히 나타나고 있어요.당뇨는 당이 몸속에 흡수되도록 돕는 인슐린 기능.. 더보기
대장의 박테리아가 당뇨병과 관련이 있을까 ? 당뇨를 시작으로 많은 정보를 받아들이면서 인슐린 저항성에 대한 생각을 해 보았다. 음식을 먹으면 식후 1시간이 혈당의 피크점이다. 결국 음식이 사람의 대장까지 가는 시간인것이다. 그럼 대장에서 흡수하는 무엇과 연관이 있지않을까 라는 생각을 하고 하였다. 그와 관련된 연구 결과가 있어 공유한다. 매우 흥미로운 기사이고 생각해 볼 만한 기사인것 같다. 美연구팀 "특정 장(腸) 박테리아, 당뇨병과 관계" (서울=연합뉴스) 한성간 기자 = 장(腸)에 서식하는 미생물 집단인 장 세균총(gut microbiome) 가운데 2형 당뇨병을 촉진 또는 억제하는 박테리아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https://dailymedi.com/news/news_view.php?ca_id=2208&wr_id=892953 美연구.. 더보기

반응형